본문 바로가기

연예

사극주인공은 왜 모두 양반이어야 할까?

<마의>, 초반 첫 회가 매우 감동적인 드라마였습니다. 앞으로도 꽤 괜찮은 사극일 거라는 기대가 듭니다. 아마도 이 드라마를 만드는 감독이 이전에 상당히 괜찮은 드라마를 만들었던 모양으로 여기저기서 기대가 큰 모양입니다.

게다가 저처럼 사상이 울퉁불퉁하다 못해 왼쪽으로 기우뚱한 사람은 “어느 누구든지 의원 한번 못보고 죽는 일이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는 강도준의 포부를 그야말로 이 시대의 이슈인 무상의료, 무상교육을 벌써 조선 중엽에 선조들이 꿈꾸었다고 제멋대로 해석하여 흐뭇하기까지 합니다.

그런데 그토록 괜찮은 드라마일 것 같은 예감이 듦에도 불구하고 역시나 옥에 티가 있습니다. 어쩌면 이는 어쩔 수 없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본래 거의 모든 사극들은 주인공의 출생에 관해선 마치 무협지를 보는 것처럼 천편일률적인 스토리를 갖고 있습니다.

바로 모든 주인공은 고귀한 신분을 타고났다는 설정이 그런데요. 천민의 자식은 고사하고 하다못해 평민의 자식이 주인공이 되는 예를 사극에서 찾아보기는 힘듭니다. 오죽했으면 신분적으로 천한 기생에서 거상의 반열에 오른 김만덕조차도 출신이 서울 양반집 딸이었습니다.

물론 주인공의 부모가 되는 양반은 역모에 휘말리거나 당쟁에서 패퇴해 몰락함으로써 죽게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마의>도 그렇습니다. 주인공 백광현은 실존인물로 글자도 알지 못하는 미천한 인물이었는데 말의 병을 치료하는 마의였다고 합니다.

그럼에도 침술에 능하고 종기를 치료하는 능력이 탁월하여 내의원 의관에 발탁됐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는 말을 치료하며 얻은 오랜 임상경험으로 침술에 달인이 되었을 뿐 아니라 종기를 절개하여 치료하는 이른바 외과적 수술기법을 최초로 개발하고 보급했다고 합니다.

글자를 모르니 당연히 의서도 보지 못했을 백광현이 이루어낸 경지란 점을 생각해보면 그가 얼마나 대단한 인물이었는지 충분히 짐작이 갑니다. 아마도 그는 천재였을 것입니다. 무협지 식으로 말하자면 백년에 하나 날까 말까한 기재였던 것입니다.

하지만 드라마 <마의>는 주인공 백광현의 운명을 실로 무협지처럼 만들고 말았습니다. 그의 생부인 강도준은 나노라하는 명문세가 출신에 대과에 장원급제한 수재였던 것입니다. 거기다 강도준은 의술에 천부적인 자질을 지녀 읽지 않고 통달하지 않은 의서가 없습니다.

그야말로 기재 중의 기재입니다. 백광현의 생부를 천하의 기재로 만듦으로써 백광현이 의서를 한 번도 읽지 않아도 천재적인 의원이 되는 것은 당연한 운명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내고 싶었던 것일까요?

하긴 뭐 그게 편할 수도 있겠습니다. 상투적이긴 해도 사람들에게 익숙하고, 익숙한 스토리는 별다른 공을 들이지 않아도 설득하기가 쉽습니다. 사람들을 몰입시키기가 수월하다는 말이죠. 그리고 아무래도 상놈의 자식보다는 양반의 자식이 폼도 날 것입니다.

하지만 드라마 <마의>라면 얼마든지 이따위 상투적인 공식에서 탈피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소현세자의 죽음의 비밀을 얽어놓으려는 의도는 알겠지만 굳이 역적으로 몰려 죽은 강도준의 아들이 아니라 그 비밀을 알고 있는 뱃사공의 아들이라도 별 탈이 없지 싶습니다만.

아무튼 저로서는 백광현이 천민 출신이어도 얼마든지 극적인 장면을 만들어내는데 아무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왜 굳이 양반 핏줄로 만들어야 했는지 그게 아쉬울 따름입니다. 백광현이 명의가 되기 위해선 반드시 양반의 핏줄을 타고나야만 하는 어떤 이유가 있었을까요?

다음주 혹은 다다음주엔, 혹은 언제이든지, 백광현의 양부가 백광현 앞에 무릎을 꿇고 출생의 비밀을 밝히는 장면이 나올지도 모르겠는데 정말이지 너무 자주 봐오던 장면이라 오글거릴 힘도 없을 것 같습니다.

“도련님. 도련님은 제 아들이 아닙니다. 도련님의 진짜 아버님께서는 대제학 대감댁의 장남이셨습니다. 대과에 장원급제하시고도 유의가 되어 백성을 돌보고자하셨던 훌륭하신 분입니다. 도련님은 아버님의 뜻을 받들어 의술을 익혀 훌륭한 의원이 되셔야만 합니다.”

에그, 밥이나 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