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예

'역전의 여왕' 희망퇴직과 명예살인, 뭐가 달라?

<역전의 여왕>. 아, 정말 눈물 나는군요. 사실 한번 안 잘려본 사람은 그 심정을 모를 겁니다. 하늘이 노랗고 땅이 꺼지는 느낌이 들 거에요. 정말이지 죽고 싶을 겁니다. 그 참담함. 절망. 혹시나 하는 기대 뒤에 여지없이 뒷통수를 때리는 충격.

시골길을 달리던 버스가 움푹 패인 함정에 떨어졌다 다시 올라올 때 가슴이 철렁하면서 서늘해지던 그 불쾌하고 두려운 기분을 당해보지 않은 그 누가 알 수 있을까요? 그랬다지요? 수천 명이 정리해고란 이름으로 잘려나갈 때도 "야, 너희들이 나가야 회사가 사는 거야. 그래야 고용도 보장되고 사회도 안정되는 거고."

불과 한 달도 안 된 어느 날, 우리 동네에선 이제 갓 50이 된 한 노동자가 자살을 선택했어요. 그는 대림자동차란 회사에 20년을 다녔는데 회사에서 이제 그만 나가달라고 한 거죠. 이른바 명예퇴직자 명단에 그의 이름이 올랐던 거에요. 그는 스스로 명퇴신청서에 사인을 하고 나갔지만, 결과는 죽음의 선택지가 되고 말았어요.  

"자른 게 아니라 희망퇴직입니다"

구용식 본부장에게 용서해다오, 뭐든지 다하겠다며 살려달라고 애원하는 남편을 지켜보던 황태희. 주차장까지 따라가 구용식에게 따집니다.

▲ "우리 남편 잘랐다면서요?" "자른 게 아니라 희망퇴직입니다!"


"그런데 우리 남편 잘랐다면서요?"
"자르는 게 아니라 희망퇴직입니다."
"그게 그거죠. 희망해서 퇴직하는 사람 있습니까? 퇴직은 다들 절망해서 하는 거에요."

그렇습니다. 세상 어디에 스스로 희망해서 명예퇴직을 선택하는 사람이 있겠습니까? 물론 미래의 계획을 세워서 스스로 퇴직하는 사람도 있지만, 명예퇴직이란 아무런 준비도 안 된 상태에서 갑자기 나가라고 하는 거 아니던가요? 그리고 이렇게 협박하죠. "만약 명퇴 거부하면 한 푼도 없이 쫓겨날 거야."

그러니 어느 누가 명퇴신청서에 사인하지 않을 재간이 있겠냔 말이죠. 황태희의 남편, 불쌍한 봉준수도 결국 희망퇴직원에 사인을 하고야 마는군요. 그러고 보니 명예퇴직을 요즘은 희망퇴직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이죠? 아무튼 희망이든 명예든 이게 대체 말이 되는 말이냐구요.

무릎 꿇고 제발 살려달라고 빌면서 사인 하지 않게 해달라고 사정하는 것이 희망이요 명예라니. 엊그제 읽은 조지 오웰의 에세이가 생각나는군요. 조지 오웰은 늘 언어의 타락에 대해 경계했다고 하는데요. "생각이 언어를 타락시킬 수 있다면, 언어도 생각을 타락시킬 수 있다." 

▲ 희망퇴직에서 빼달라고 무릎 꿇고 사정하는 목 부장


희망퇴직! 명예퇴직! 이런 말들이야말로 언어를 타락시키고, 나아가 생각을 타락시키는 것들 아닐까요? 4대강을 파헤쳐 죽이면서 '강 살리기 사업'이라 이름 붙이고, 나무를 자르고 습지를 메우면서 '녹색성장'을 말한다면 이 또한 언어를 타락시키고 생각을 타락시키는 원흉들 아닐까요?
 
좌경세력이 하는 말은 모두 용어혼란전술

제가 군에 있을 때, 사회에선 연일 데모가 벌여졌어요. 체육관 선거를 폐지하고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겠다는 거였지요. 요즘은 이해할 수 없겠지만 그때만 해도 그런 시대였죠. 그 여파는 제가 있던 훈련소에도 바로 왔어요. 군인들에게 사상교육을 시키라는 거였지요.

훈련소에서도 제가 있던 부대가 제일 할 일이 없던 부대였어요. 교리연구나 교관 교육을 주로 하던 부대였거든요. 그 중에서도 제대를 얼마 남겨놓지 않은 제가 또 제일 할 일이 없었고요. 그래서 제가 그 사상교육의 담당조교가 됐던 것이에요. 우선 시범적으로 카츄사 훈련병들이 대상이 됐지요. 

그렇다고 제가 사상교육에 대해 별로 할 일이 있었던 건 아니에요. 국방부에서 내려온 1시간짜리 비디오 테이프를 틀어주기만 하면 되는 것이었으니까요. 그리고 저도 무슨 소리 하나 하고 맨 뒤에 앉아 카츄사 애들 하고 함께 보는 거죠. 당시 카츄사병은 고시만큼 힘들게 패스해야 들어올 수 있었던 거 아시죠?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네요. 유로코뮤니즘, 종속이론, 해방신학…  이런 교과목들을 통칭해서 '신좌경사상비판'이라고 불렀죠. 프랑크니 사미르 아민이니 하는 이름들이 아직도 기억나는군요. 비판 능력이 없던 당시로서는 50분 수업 중 40분 설명하고 나머지 10분이 비판, "아주 나쁜 거야!" 그랬던 거 같아요. 

아무튼, 그 얘기 하려던 건 아니구요. 이때 비판의 핵심 골자가 그거였어요. 용어혼란전술. 소위 좌경세력이 잘 쓰는 전술이 바로 용어혼란전술이다, 뭐 그런 거지요. 그러니까 좌경세력이 주장하는 내용들이 귀가 솔깃한 게 많은데 그게 다 사실은 거꾸로다, 그런 말입니다(뭐가 거꾸론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지만).

그런데요. 제가 오늘 <역전의 여왕> 스토리를 풀다가 왜 쓸데없이 용어혼란전술 같은 뜬금없는 얘기를 하느냐면 말이지요. 희망퇴직이니 명예퇴직이니 하는 소리를 들으니 갑자기 먼 옛날 들었던 용어혼란전술이 생각났기 때문이에요. 알고 보니 용어혼란전술은 좌경세력이 쓰는 게 아니었던 거죠. 

명예퇴직=희망퇴직=명예살인, 이게 바로 용어혼란전술

조지 오웰의 탁월한 통찰력이 주목한 바, 인간이 범하는 가장 추악하고 비열한 범죄 중 하나가 바로 이 언어의 타락이며, 이를 통해 생각마저 타락시킨다는 이 명백하고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 앞에 그저 참담할 뿐이죠. 희망퇴직이니 명예퇴직이니 하는 말을 어느 누구도 거리낌없이 자연스럽게 쓰는 시대가 되었으니. 

'명예'롭게 스스로 '희망'해서 퇴직했건만 왜 적지 않은 노동자들이 '절망'을 안고 '죽음'을 택할까요? 명예와 희망, 절망과 죽음, 이 네 개의 단어에 어떤 사소한 동질감이라도 있다는 것인지. 말을 하다 보니 길어졌네요. 한마디만 더 하죠. 명예살인. 

▲ 회사에서 쫓겨난 자신이 쓰레기 같다며 쓰레기장에서 오열하는 봉준수와 황태희


아랍세계에 가면 이른바 명예살인이란 이름으로 버젓이 어떤 법적 제재나 구속도 없이 사람을 죽이는 악행이 자행되고 있다는 뉴스를 가끔 접할 때가 있지요. 어떤 '처녀'(처녀란 말에 주목하세요)가 어떤 남자를 사랑해서 연애를 하다가 발각되면 그 '처녀'는 가족들에 의해(특히 오빠들) 죽임을 당한다는 거죠. 

그걸 명예살인이라고 하는데요. 대체 어쩌다 이런 이름이 붙은 것일까요? 일부의 견해에 의하면 그건 남의 나라 일이고, 그 나라 고유의 문화에 속하는 것으로서 간섭하는 것은 내정간섭으로 옳지 않다고 하실지도 모르겠지만, 이 또한 명백한 언어의 타락이요 용어혼란전술에 속한다는 게 제 생각이에요. 

희망퇴직 이야기하다가 명예살인까지 나온 게 좀 난센스 아니냐고 핀잔을 주실 분도 계실지 모르겠지만 말이죠. 절대 그렇지 않아요. 희망퇴직이든 명예살인이든 다 힘세고 가진 자들이 힘없고 못가진 자를 핍박하기 위해 만든 용어혼란전술, 언어의 타락이란 점에선 같으니까요. 

그러고 보니 이런 등식도 성립하네요. 희망퇴직=명예퇴직=명예살인. 희망퇴직이 명예살인과 같은 말이로군요. 그러면 그분들은, 이것도 다 좌파의 용어혼란전술이다, 그러시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