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이야기 /이런저런이야기

다산이 세검정에서 놀던 이야기 들어보니

세검정의 뛰어난 경치는 소나기가 쏟아질 때 폭포를 보는 것뿐이다. 그러나 비가 막 내릴 때는 사람들이 수레를 적시면서 교외로 나가려 하지 않고, 비가 갠 뒤에는 산골짜기의 물도 이미 그 기세가 줄어든다. 이 때문에 정자는 근교에 있으나, 성안의 사대부 가운데 정자의 뛰어난 경치를 만끽한 사람은 드물다.
신해년(1791) 여름에 나는 한해보 등 여러 사람과 명례방에 모였다. 술이 몇 순배 돌자 뜨거운 열기가 찌는 듯하더니 검은 구름이 갑자기 사방에서 일어나고, 마른 천둥소리가 은은히 들렸다. 나는 술병을 차고 벌떡 일어나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폭우가 쏟아질 징조네. 그대들은 세검정에 가보지 않겠는가. 만약 가려고 하지 않는 자에게는 벌주 열 병을 한꺼번에 주지.”
하니 모두들,
 “이를 말인가.” 하였다.
이리하여 마부를 재촉하여 나왔다. 창의문을 나서자 비가 서너 방울 떨어졌는데 크기가 주먹만하였다. 말을 달려 정자의 밑에 이르자 수문 좌우의 산골짜기에서는 이미 물줄기가 암수의 고래가 물을 뿜어내는 듯하였고, 옷소매도 또한 빗방울에 얼룩졌다.
정자에 올라 자리를 펴고 난간 앞에 앉아 있으려니, 수목은 이미 미친 듯이 흔들렸고 한기가 뼈에 스며들었다. 이때 비바람이 크게 일어나더니 산골 물이 갑자기 흘러내려 눈 깜짝할 사이에 계곡은 메워지고 물 부딪치는 소리가 아주 요란하였다. 흘러내리는 모래와 구르는 돌이 내리치는 물 속에 마구 쏟아져 내리면서, 물은 정자의 주춧돌을 할퀴고 지나갔다. 그 형세는 웅장하고 소리는 맹렬하여 서까래와 난간이 진동하니 오들오들 떨려 편안치가 못하였다.
내가 묻기를,
“어떻소?”
하니 모두 말하기를,
“이루 말할 수 없이 좋구먼.”
이라고 했다. 술과 안주를 가져오게 하고 익살스런 농담을 하며 즐겼다. 조금 있자니 비도 그치고 구름도 걷혔으며 산골 물도 점점 잔잔해졌다. 석양이 나무에 걸리니, 붉으락푸르락 천태만상이었다. 서로를 베고 누워서 시를 읊조렸다.
한참 지나자 심화오가 이 일을 듣고 정자에 뒤쫓아왔으나, 물은 잔잔해진 뒤였다. 처음에 화오는 같이 오자고 하였으나 오지 않았으므로, 여러 사람들이 함께 조롱하고 욕을 해댔다. 그와 함께 술을 한 순배 마시고 돌아왔는데 그때 홍약여·이휘조·윤무구 등도 함께 있었다.

위 글은 다산 정약용 선생의 글입니다.

이 글은 다산문선 중 유세검정기(세검정에서 노닐은 기) 전문입니다. 다산은 엄청나게 많은 책을 읽은 다독가로 유명하지만 또 엄청나게 많은 양의 책을 집필한 다작가로도 유명합니다.
그는 신유사옥 때 천주교도로 몰려―그가 천주학쟁이였던 것은 그게 학문연구의 목적이었든 신앙적 목적이었든 사실이었던 듯하다. 그의 형 정약종은 천주학의 수괴로 한강에서 참수되었으며, 정약전은 흑산도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했다. 정약종의 아들 정하상은 한국 천주교의 상징적 인물이다. 천주교에선 김대건 신부보다 정하상의 이름이 훨씬 드높다. 기도할 때 부르는 성인 이름 중에 정하상이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전남 강진에서 18 년간의 유배생활을 하는 동안 무려 500 권의 책을 썼다고 합니다.

실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요즘처럼 노트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잘 써지는 만년필이 있는 것도 아닌데, 직접 먹을 갈아 붓으로 한 자 한 자 500 권의 책을 만들었다는 사실에 그저 숙연해질 뿐입니다.  
그 중에 우리가 익히 들어 알고 있는 1표2서, 즉 경세유표와 목민심서, 흠흠신서도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유세검정기>는 정조가 죽기 전, 즉 신유사옥(혹은 신유박해)가 일어나기 전 젊은 시절 동무들과 어울려 놀던 이야기를 직접 적은 글입니다.
정약용에게도 이런 시절이 있었구나 하고 생각되실 것입니다. 아주 호탕한 기질도 느껴집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저는 이 글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이 들었는지 아십니까? 좀 우스운 이야기지만, 폭우가 쏟아지는 세검정까지 술과 안주를 지고 갔을 ‘종놈’들은 얼마나 고생이 많았을까 그런 생각을 했답니다. 
웬 쓸데없는 걱정을 다 한다고요? 글쎄, 제가 좀 그렇습니다. 쓸데없는 걱정이나 상상을 좀 많이 하는 편이지요.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세검정까지 올라가는 동안 다산이나 그의 동무들이 양반 체면에 술과 안주를 지고 가지 않았으리란 사실은 분명합니다.
요즘처럼 자동차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 먼 길에 술과 안주를 나르기란 보통 힘든 일이 아니었을 것입니다.
물론 말에 싣고 갔을 수도 있겠지만, 어떻든 비가 쏟아지는 산길은 고역이었을 겁니다.

목민심서로 만관에게 귀감을 보여준 다산 선생도 결국은 제도의 한계를 어쩌지는 못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리 보면 허균이야말로 뛰어난 인물이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는 상민들을 친구로 사귀며 함께 술을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혁명을 꿈꾸었을 것입니다. 조선이 멸망하는 날까지 허균의 이름은 아무도 입에 올릴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는 양반이 지배하는 세상을 부정하는 괴물이었으니까요.  
       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