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이야기

혁명? 이명박만큼만 하세요

혁명이란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은 혁명이라고 하면 무서운 것으로 생각한다. 세상을 뒤집어엎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혁명을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사람들의 피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모든 우려들은 일정한 진실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혁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혁명이란 말을 쉽게 꺼내지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오히려 혁명은 진보보다는 보수쪽에 선 사람들의 입에서 더 자연스럽다.

러시아에서 직접 찍은 사진들을 슬라이드로 보여주면서 대화체로 하는 교육이 신선했다.


혁명? 용어에서 묻어나는 두려움부터 없애야

그러나 오늘 혁명에 대해 새롭게 접근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혁명이란 어려운 것이 아니었다. 그저 각자가 살고 있는 환경과 처지에 따라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는 것, 행동하는 것, 자기의 이익에 맞는 정당에 투표부터 하는 것, 그게 혁명이라고 했다. 말하자면, 혁명은 하나의 과정이요 프로세스다. 그런 것들이 모이면 비로소 혁명은 성공의 문을 여는 열쇠를 얻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그럴 듯한 말이다. 그래, 그렇다면 혁명 그거 아무것도 아니잖아. 그게 혁명이라면 나도 얼마든지 할 수 있겠어. 배대화 교수(경남대)는 그렇게 혁명에 대한 두려움부터 떨쳐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도대체 혁명이란 것을 고전적인 개념으로만 해석해서 매우 무섭고 힘든 일로만 만들어서는 세상이 바뀌기 어렵다는 것이다.

어제 경남도민일보 강당에서는 2주에 한 번씩 열리는 진보신당(마산시당, 위원장 이장규) 주최의 교육이 있었다. 강사는 배대화 경남대 교수였는데, 제목이 《슬라이드로 보는 러시아》였다. 슬라이드로 보는 러시아? 이 제목을 듣고 생각해낸 것은 레닌이었다. 아마도 레닌의 혁명사에 대해 강의하려나보다, 그렇게 생각했던 것이다.

배교수는 대학 졸업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동경대학에서 러시아문학을 전공했다.  또 동서해빙 후에는 모스끄바에 오랫동안 체류하며 러시아 문화를 공부했다. 그리고 경남대에서 러시아문학을 가르치고 있다. 게다가 그는 진보적인 지식인 중의 한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민주노동당 당원이었으며 현재는 진보신당 당원이다. 민주교수협의회 경남지역 대표이기도 하다. 모르긴 몰라도 대학시절, 그는 운동권이었을 터이다. 

70년대와 80년대의 대학가에서 운동권이었다면 마르크스 레닌주의에 한번쯤 빠져보지 않았던 사람이 있었을까. 그런저런 이유로 나는 《슬라이드로 보는 러시아》는 틀림없이 러시아혁명이 주제일 거라고 지레 짐작을 했던 것이다. 그러나 웬걸? 정작 교육이 진행되는 내내 혁명 얘기는 단 한 차례도 나오지 않았다. 

오로지 아름다운 러시아의 자연과 러시아 정교회의 신비한 빛으로 둘러싸인 건축물들, 러시아인들의 성격, 보드카, 슬라브족에 관한 이야기들이 주를 이루었다. 빔 프로젝트로 보여주는 선명한 화면과 마치 대화를 하는 것처럼 가벼운 강의 같지 않은 강의가 눈으로 뒤덮인 하얀 대지를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 주었다.

88만원 세대가 생각하는 혁명과 현실

그런데 내가 기대했던 혁명에 관한 이야기는 정작 뒤풀이로 간 술자리에서 나왔다. 그는 『88만원 세대』란 책을 학생들에게 읽게 한 다음 독후감을 내도록 했는데, 한 학생의 글에서 이런 내용을 읽을 수 있었다고 했다. "…세상이 바뀌지 않고서는 자기들이 대학을 졸업한 후 88만원 세대에 속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바꿀 수 없을 것이다."

"세상이 바뀐다는 것은 곧 혁명이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 아닐까. 그러나 나는, 그것을 바라지만 혁명을 할 수도 없고 그 혁명에 따라가지도 못한다. 무섭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세상이 바뀌기를 원하는 나는 너무 이기적인 것일까?" 매우 뛰어난 글솜씨로 솔직한 자신의 심정을 피력한 학생의 독후감은 아주 감동적이었다고 했다.

그래서 배교수는 그 학생을 따로 불렀다. 그리고 그에게 혁명이란 그렇게 무서운 것도 아니며 무서운 것이어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러지 아니하면 혁명은 결코 성공할 수 없는 공허한 것일 뿐이며 혹시 어떤 상황적 요인으로 인해 폭력적인 방법으로 혁명이 성공하더라도 결국 실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것은 역사가 증명하는 바이기도 하다. 민의를 충분히 수렴하지 아니한, 즉 민중 스스로의 판단과 행동에 의하지 아니한 혁명이란 결국 반혁명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우리는 역설적으로 러시아 혁명사에서 배웠다. 그리고 혁명이란 평화적일 수록 좋은 것이며 그 토대 또한 단단한 것이다. 그럼 혁명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배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그건 별게 아니에요. 그저 자기가 살고 있는 곳에서 자그마한 일들을 하는 거지요. 내가 내 이익에 따라서, 내 이익에 부합하는 정당에 투표하는 것, 그것이 혁명이죠. 만약 5천만 국민이 모두 자기 이해관계를 정확히 알고 자기 이익을 대변하는 정당을 찾아 투표할 수 있다면 그게 당장 혁명이죠."

"그러니 혁명이란 무서운 것도 아니고 무서워서도 안 되는 거에요. 너무 쉬운 일 아니에요? 그런데 사실은 이게 너무 어렵고 힘든 일이기도 하지요. 없는 사람들, 못 사는 사람들이 오히려 한나라당에 투표하는 게 현실이니까요. 그렇다면 생각해보자고요. 이런 생각들을 바꾸는 것, 이런 분들이 자기 이익에 따라 투표하도록 만드는 것, 그게 혁명 아닐까요?"

혁명이란? 자기 이익을 잘 따지는 거라고 말하는 배교수. 그러나 현실은 대체로 자기 이익과 반대방향에 투표한다.


혁명은 제 밥그릇을 지키는 것으로부터

그러고 보니 혁명, 그것 참 밥 먹기 보다 훨씬 쉬운 일이란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대개 사람들은 자기 밥그릇도 못 챙기는 게 현실이다. 자기 밥그릇을 가장 확실하게 잘 챙기는 건 역시 재벌이다. 조중동 같은 족벌 언론이다. 그들을 보라. 불법으로라도 미디어법을 통과시켜 자기 밥그릇을 확실히 지키겠다는 눈물겨운 노력을….

그래, 맞다. 제 밥그릇 제가 챙기는 게 바로 혁명이 아니고 무엇이 혁명이란 말인가. 그런데 가만 생각해보니 이명박이만큼 제 밥그릇 잘 챙기는 사람이 세상에 또 어디 있단 말인가. 그럼 이명박과 한나라당, 조중동이 혁명을? 물론 말도 안 되는 내 말장난이다. 혁명은 자고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지 한나라당류처럼 역주행을 하는 건 아닐 터이다. 

그러나 이런 생각은 든다. 혁명을 하려면 최소한 이명박이나 한나라당만큼은 제 밥그릇 챙길줄 알아야 한다고.          파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