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이야기

대운하, 왜 해보지도 않고 반대하냐고?

낙동강 천삼백 리 길을 걷는다

1. 낙동강의 고향, 태백산으로

대운하, 왜 해보지도 않고 반대하냐고?
우리는 칠흑 같은 어둠 속에 처연하도록 쓸쓸한 한줄기 빛으로 서있는 철암역을 지나 태백고원자연휴양림을 찾았다. 몇 차례 길을 헤매었건만 길을 물어볼 사람 하나 보이지 않는다. 신정일 선생이라면 아마 이렇게 말했을 것이다. 

 

길 위에서 길을 묻는다고? 아니 사람이 있어야 길을 묻지. 길 물을 사람조차 없는 그 고독과 싸우는 게 바로 길을 찾아 걷는 자의 몫이야.

 

아직 서울 사람들은 도착하지 않았다. 고원휴양림 관리소에서 열쇠를 받아 방마다 모두 불을 켰다. 휴대폰으로 연락을 해보니 두어 시간쯤 걸리겠다고 한다. 이제 겨우 제천을 지나 태백 쪽으로 길을 잡았단다. 하긴 서울에서 예까지 길이 어딘가.

 

태백 시내를 뒤져 술 몇 병과 안주감으로 골뱅이 깡통과 오징어 땅콩을 샀다. 신정일 선생은 글만 맛깔 나게 쓰는 게 아니라 타고난 달변이었다. 그는 전주사람이다. 전주라면 맛의 본고장 아니겠는가. 그런데 알고 보니 전라도는 음식만 맛난 게 아니라 말도 맛있다.

 

어조가 마치 창 한가락을 듣는 것 같다. 그러고 보면 전라도는 풍요로운 고장이다. 척박한 경상도에 비해 물산이 풍부한 전라도에서 문학과 예술이 발달했음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누군가 이런 대화 중에 그런 소리를 했다. 대신 경상도에는 무인이 많이 났잖아.

 

그 무인이란 대체 누구를 말함이었을까? 그러나 거기까지 물어보진 않았다. 나도 뼛속까지 경상도 사람이니…, 물어보나마나 뻔한 답이 나올 것임을 이미 알고 있었으므로.

 

전라도에 가면 가는 곳마다 그림 한 점씩 안 달아놓은 집이 없다고 한다. 어부사시사의 윤선도, 사미인곡의 정철, 동서고금을 통틀어 최고의 자화상을 국보로 남긴 윤두서 실로 모래처럼 많은 기인이사들이 이곳에 족적을 남겼다.

태백고원자연휴양림. 3월의 마지막 주말, 자고 일어나니 온통 눈이 내렸다.


신정일 선생이 아까 농암종택에서 국회 환노위 위원들을 상대로 강연을 했던 이야기를 다시 꺼냈다. 강연이 끝나면 늘 하던 대로 질문과 토론이 이어지는 법이다. 이때 자리에 있던 한 MBC 기자가 질문을 던졌다. “선생님, 좋은 이야기만 하지 마시고 부정적인 이야기도 하나 해주십시오.” 좌중의 위원들과 지방수령들도 맞장구를 쳤다.

내가 여기 모두 한나라당 국회의원님들이시고 군수님과 시장님도 계신데 대운하가 마음에 안 든다든지 뭐 이런 부정적인 이야기하면 안 좋아하실 거 아니에요? 초대받아가지고 예의가 아니잖아요. 그래도 해달라고 하니까 재미있는 이야기 하나만 하지요.

 

“내가 작년인가 여주에 갔었어요. 그쪽 한강 일대를 답사하는 게 목적이었는데요. 어떤 부동산업자인 듯한 분하고 나이가 좀 드신 여자분이 서서, 말하자면 복부인인데, 여기저기 둘러보고 있더군요. 제가 지나가다가 어떻게 오셨느냐고 물어보았더니 땅을 사러 왔다고 그러더군요.

 

그 여자분이 거꾸로 내게도 뭐 하러 오셨느냐고 물어보기에 나는 땅을 보러 왔노라 대답해주었지요. 하하. 그분들이 어찌 이해했는지는 나도 몰라요. 앞으로 대운하가 생기면 이쪽에 땅값이 엄청 올라갈 거 같아서 사두려고 왔다고 하대요.

 

그래서 내가 물어보았지요. 아주머니, 대운하가 생기면 뭐가 좋아질 것 같아요? 그랬더니 아주머니 하시는 말씀이 아주 걸작이라. 먼저 경제성장 7%가 달성된다네. 그 다음에 일자리도 창출되고. 차 때문에 도로에 길도 많이 막히는데 배가 다니면 얼마나 좋으냐고.

 

그래서 내가 한번 더 물었어요. 그럼 안 좋은 거 딱 한가지만 말해보세요. 좋은 게 아무리 많아도 안 좋은 것도 하나쯤은 있을 거 아니요. 그랬더니 이렇게 말하더군요. 환경영향평가에 통과 안될 까봐 그게 제일 걱정이래. 허허…”  

 

우리는 이야기를 듣다가 혹시나 대운하사업이 환경영향평가에 통과 못할지도 모른다고 불안해하는 그 아주머니의 걱정에 포복절도하고 말았다. 그러나 이야기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신정일 선생은 계속해서 다음 말로 이어갔다.

 

그런데 그 아주머니, 그러니까 복부인이지. 그러더군. 우리나라 사람들은 참 이상한 사람들이래.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대요. 왜 해보지도 않고 반대를 하느냐고. 해보고 반대를 해도 해야 될 거 아니냐고.

 

그러나 이건 그저 웃고 넘어갈 이야기가 아니다. 이것이 다만 그 복부인만의 문제도 아닌 것이다. 사실은 대부분의 국민들도 이처럼 어이없는 정보와 견해에 빠져있는 것이 현실이다. 한번 갈아엎은 강은 되살리는 데는 수천 년으로도 모자란다.

 

그런데 4대강을 갈아엎어 얼마나 돈을 벌고 실업자를 구제하고, 또 교통이 얼마나 좋아질 수 있을까? 이미 많은 연구결과들은 부정적이다. 경제성장에 별 도움이 안 되고 일자리도 별로 늘어날 것이 없다고 한다. 얻는 것은 환경을 파괴하고 가져가는 개발업자의 이윤뿐이란 것은 약간의 상식만 동원하면 금방 알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왜 해보지도 않고 반대하느냐고? 이야기를 듣던 우리는 그저 허망한 웃음만 날릴 수밖에 없었다. 멀리 계곡을 타고 올라오는 버스 엔진소리가 들린다. 곧이어 사람들의 왁자한 소음…, 반가운 소리다. 서울사람들이 도착했다. 시계는 이미 새벽 두시를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파비